보살계갈마기
본문
한자1
[菩薩戒羯磨記]
한자2
ⓢ
ⓟ
ⓣ
뜻(설명)
1권. 신라시대 둔륜(遁倫 혹은 道倫)이 편찬한 『유가론기(瑜伽論記)』 가운데 수계갈마(受戒羯磨)를 해석한 부분만 발췌하여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본문과 회편한 책. 활자본. 유가계(瑜伽戒)에 있어 『보살계갈마(菩薩戒羯磨)』란 일반적으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계품(戒品)」 중 수계갈마·참회갈마(懺悔羯磨)·득사차별(得捨差別)을 설한 부분만 별도로 한역한 단행본을 가리키지만, 본서는 이 가운데 수계갈마 부분만 실었다. 본문은 계를 받는 사람인 수인(受人), 계를 주는 법사인 수사(授師), 보리심을 뜻하는 계인(戒因)의 셋으로 분과하였다. 해석에 있어서 여러 유식학자의 주장을 두루 소개하고, 『영락경(瓔珞經)』·『우바새계경(優婆塞戒經)』·『금강경(金剛經)』·『십송률(十誦律)』 등을 인용하였다. 두 곳에서 『범망경(梵網經)』을 인용하였는데, 이 경에 의해 유가계를 보충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서 두 가지 계에 대한 융화적인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금릉각경처(金陵刻經處)에서 1919년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