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계본소
본문
한자1
[菩薩戒本疏]
한자2
ⓢ
ⓟ
ⓣ
뜻(설명)
신라시대 의적(義寂)의 『범망경(梵網經)』 주석서. 이 책의 분과(分科)와 해석은 모두 『범망경』 하권에 한정되어 있다. 본문은 크게 셋으로 구성되는데, 첫째는 지귀(旨歸)를 나타낸 부분으로 이는 다시 계의 종취(宗趣)를 밝힌 것과 계체(戒體) 및 계상(戒相)을 밝힌 것으로 나뉜다. 둘째는 제목의 뜻을 상세히 풀이하는 부분이다. 셋째는 본문을 풀이하는 부분으로 먼저 본문을 서분·정설분·유통분으로 분과한 뒤, 서분을 다시 권신서(勸信序)와 결계서(結戒序)의 둘로 나누어 믿음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정설분에서는 10중계와 48경계를 풀이했다. 본문의 해석에 있어서 동일한 위범일 경우 대승계와 소승계의 동일성과 차이성에 대한 해명에 중점을 둔 점, 원리적인 면이 강한 범망계에 비해 방편을 허용하는 면이 강한 유가계를 자주 인용한 점, 재가자가 수지해야 할 계율을 설한 『우바새계경(優婆塞戒經)』을 비중 있게 인용한 점, 더 나아가 재가자도 설법주(說法主)가 될 수 있고 계를 주는 법사가 될 수 있음을 설하여 재가자의 위상을 높인 점 등이 특징으로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