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계본지범요기
본문
한자1
[菩薩戒本持犯要記]
한자2
ⓢ
ⓟ
ⓣ
뜻(설명)
신라시대 원효(元曉, 617~686)가 대승계(大乘戒)를 설한 『보살계본』을 주석한 책. 『보살계본』에는 『범망경(梵網經)』과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의 두 계열이 있는데, 원효는 이것에 독자적 명칭을 부여하였다. 전자는 다라계본(多羅戒本)이라 하여 수다라 곧 경(經)에 근거한 계본임을 드러냈다. 후자는 달마계본(達摩戒本)이라 하여 아비달마 곧 논(論)에 근거한 계본임을 나타냈다. 이것은 다라와 달마, 곧 일승교의(一乘敎意)와 삼승교의(三乘敎意)의 차이성을 분명히 보이면서 동시에 양자를 회통하려는 원효의 의도가 내재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서는 원효가 직접 분과(分科)하지는 않았지만, 내용상 서문·본문·결론의 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문에서는 보살계가 불도를 성취하는 요체임을 강조하고 계율의 조목에 대한 형식적 실천보다는 내면적인 마음가짐이 더욱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본문에서는 경중문(輕重門)·천심문(淺深門)·구경지범문(究竟持犯門)의 세 가지 문을 시설하여 보살계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한다. 결론에는 자신의 글이 세상에 두루 퍼지고, 모든 중생이 계율을 통해 중도를 이루고 죄를 없앨 수 있기를 기원하는 게송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