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영락경
본문
한자1
[菩薩瓔珞經]
한자2
ⓢ
ⓟ
ⓣ
뜻(설명)
14권. K385, T656. 전진(前秦)시대에 축불념(竺佛念)이 376년에 장안(長安)에서 번역했다. 줄여서 『영락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현재보경(現在報經)』이라고도 한다. 「보칭품」· 「식공품」·「장엄도수품」·「용왕욕태자품」·「법문품」·「식계품」·「제불권조품」·「여래품」·「음향품」·「인연품」부터 「무아품」·「등승품」·「삼계품」 등 45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보살도(菩薩道)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이 마갈계(摩竭界)의 보승(普勝)강당에 머물 때 여러 비구와 보살·천신 등이 함께 모인 자리에서 보조(普照)보살의 질문에 대해 보살도를 수행하는 10가지 공덕과 보살법의 영락 등을 설명한다. 또한 부처님은 보살 영락에 관한 8만 법문을 비롯하여 육법 청정 영락·공혜(空慧) 무착행(無着行)·사신족행(四神足行)·십이인연법·사성제·삼선(三禪)·삼승(三乘)·10종 무상법(無相法)·10종 부사의행(不思議行)·10종 무아행(無我行) 등을 상세히 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