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암
본문
한자1
[普庵]
한자2
ⓢ
ⓟ
ⓣ
뜻(설명)
(1115~1169) 남송(南宋) 때 임제종(臨濟宗) 승려. 중국 강서성(江西省) 원주(袁州) 출생이며 이름은 인숙(印肅)이다. 수륭원(壽隆院) 현공(賢公)을 스승으로 삼아 27세에 출가하여 다음 해에 구족계를 받았다. 스승에게 『법화경(法華經)』을 배우다가 문득 “부처님의 현묘한 뜻은 마음을 깨닫는 것이 귀하니 글 읽는 것이 도에 무슨 이익이 있으랴.”라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이후 호상(湖湘) 등지에 가서 대위(大潙)의 목암(牧庵) 문하에서 수학했다. 1153년(소흥 23) 자화사(慈化寺)에서 종풍(宗風)을 떨쳤으며 참선하는 도중에 『화엄경(華嚴經)』과 논을 읽다가 크게 깨쳤다. 병든 이에게 약초를 주어 치료하기도 하고 항해하는 선박의 풍랑을 면하게 하는 등 많은 영험을 보였다고 전해진다. 이후 어부들은 선박에 그의 존상을 모셔 안전을 빌었고, 일본 임제종에서는 불전에 그의 위패를 안치하는 풍습이 있다. 송나라 1169년(건도 5)에 55세로 입적했다. 시호는 보암적감묘제정각소황선사(普庵寂感妙濟正覺昭貺禪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