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보양

본문

한자1
[寶壤]
한자2
뜻(설명)
신라 말기 승려. 당나라에 가서 법을 배우고 오는 길에 서해(西海)를 건널 때 용왕이 용궁으로 청하여 염불하고 금라(金鑼) 가사를 보시받았다. 용왕은 이목이란 아들을 시봉으로 딸려 보내면서 “삼국(三國)이 소란하여 아직 불법에 귀의할 임금이 없으니 내 아들을 데리고 가서 작갑(鵲岬)에 절을 짓고 있으면 난리도 피하고 몇 해 안으로 불법을 보호할 임금이 나와 삼국을 정하리라.” 하였다. 본국에 돌아왔는데 어떤 노승이 원광이라 자칭하면서 인궤(印櫃)를 주고 사라졌다. 그곳에서 보양은 폐사된 절을 발견하고 다시 짓기 위해 북령(北嶺)에 올라가 바라보니 뜰 가운데 5층 황탑(黃塔)이 보였다. 내려와 찾아보니 흔적이 없어 다시 올라가 보니 까치 떼가 땅을 쪼고 있었다. 용왕이 ‘작갑’이라 하던 말을 생각하고 내려와 땅을 파니 벽돌이 나왔다. 이곳에 절을 짓고 작갑사(鵲岬寺)라 하였다. 고려 태조가 3국을 통일한 뒤 작갑사를 지었다는 말을 듣고 오갑(五岬)의 지세 500결(結)을 보시하고 937년(태조 20)에 운문선사(雲門禪寺)라는 액(額)을 하사하였다. 이목은 절 곁에 있는 작은 못에 살았는데 어느 해 크게 가물어 곡식이 말라가니 이목을 시켜 비를 내리게 하였다. 이에 하느님이 노하여 이목을 죽이려 하자 보양은 상 밑으로 이목을 숨겨주었다. 하늘의 사자가 내려와 이목을 내어달라 하자 뜰 가운데 있는 배나무를 가리키면서 저것이 이목(梨木)이라 하니 하늘의 사자가 배나무에 벼락을 치고 올라갔다고 한다. 처음 당나라에서 돌아와 추화(推火; 지금의 밀양)의 봉성사(奉聖寺)에 있을 때 고려 태조가 군대를 거느리고 청도(淸道)에 이르니 산적(山賊)들이 견성(犬城)에 모여 항복하지 않았다. 태조가 보양에게 항복 받을 방법을 물었더니, “개는 밤만 지키고 낮은 지키지 않으며 앞만 지키고 뒤는 지키지 못하니 낮에 북쪽을 치십시오.”라고 말했다. 태조는 그의 말대로 하여 산적에게 항복을 받았으며 이후부터 태조는 해마다 쌀을 50석씩 보양의 사찰에 올렸다고 한다. 이후 보양은 작갑사에서 입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