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사
본문
한자1
[普賢寺]
한자2
ⓢ
ⓟ
ⓣ
뜻(설명)
1)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상왕산에 있던 사찰. 2) 충청남도 서천군 월명산에 있던 사찰. 3) 충청남도 부여군 만수산에 있던 사찰로 보현암이라고도 한다. 4)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로 청주대학교 경상대학 뒤편에서 우암산(牛岩山)에 오르는 등산로 초입에 있는 사찰이다. 1935년 바느질품을 팔면서 불도를 닦던 여신도 김천운이 초암(草庵)을 짓고 기도처로 삼으면서 사찰이 유래됐다. 하지만 1976년 서원학회의 조사 결과 경내에서 인근 관음사에서도 출토된 바 있는 계향지사(桂香之寺) 명문의 기와가 출토된 점으로 미뤄보면 두 절이 같은 사역(寺域)에 들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5) 전라남도 고흥군 팔령산에 있던 사찰. 6)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로 1912년 사택(寺澤)이 창건하여 금강봉사(金剛峯寺)라 하였으나 6·25전쟁 때 폐허가 되었다. 이 사원을 일우(一宇)가 상천사(象川寺)에서 불법을 수련하다 북한군의 만행으로 인해 머물기 힘들게 되자 고심하던 중 이곳 금강봉사지(金剛峯寺址)가 포교할 수 있는 적지라고 생각되어 신도를 모아 1950년 7월 15일 사원을 중창하고 보현사(普賢寺)로 개칭하였다. 7) 경상북도 청송군 보현산에 있던 사찰. 8)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만월산에 있는 사찰. 보물로 지정된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江陵 普賢寺朗圓大師塔)과 940년(태조 23)에 세운 보물로 지정된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가 있다. 9) 강원도 양양군 천후산에 있던 사찰. 10) 강원도 김화군 대성산에 있던 사찰. 11) 강원도 회양군(금강군) 원통사 동쪽에 있던 사찰이다. 12) 강원도 영월군 양산에 있던 사찰. 13)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던 사찰. 14) 함경남도 안변군 오압산에 있던 사찰. 15) 강원도 안변군 황룡산에 있는 사찰.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04호로 지정되어 있다. 737년 신라 효성왕 때 창건되었으며 고려시대 유물인 석탑 2기가 있다. 목조 건물은 조선 1761년(영조 37)에 지었고 서산·사명이 있던 곳이라고 한다. 16) 함경남도 단천시 하다면 아미산에 있는 사찰. 17) 함경남도 영흥군 국태산에 있던 사찰. 18) 함경북도 경흥군 상하면 송진산에 있는 사찰. 19) 함경북도 길주군 성불산에 있는 사찰. 20) 평안북도 삭주군 미륵산에 있는 사찰. 21)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묘향산에 있는 사찰.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평안북도에서 제일 큰 사찰이다. 968년(광종 19)에 탐굴(探窟)·광확(廣廓)이 창건했다. 1096년(숙종 1)에는 달보(達寶)가 중창, 1361년(공민왕 10)에는 나옹(懶翁)이 중창, 1449년(세종 31)에는 해정(海正)이 중창하였다. 1634년(인조 12)에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명조(明照)와 각성(覺性)이 다시 중창했고, 1761년(영조 37) 9월에 다시 화재로 소실되었지만 남파(南坡)·향악(香岳)이 중창하였다. 청허휴정이 오래 머물렀고 그의 비가 있다.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입적처(入寂處)로도 알려졌다. 22) 평안북도 영변군 영산에 있던 사찰. 23) 평안북도 희천군 아미산에 있는 사찰. 24) 평안남도 안주군 오도산에 있던 사찰. 25) 황해남도 해주시 불족산에 있던 사찰. 사적비가 있고 보현암이라고도 한다. 26) 황해남도 봉천군 천신산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