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상의치경
본문
한자1
[本相猗致經]
한자2
ⓢ
ⓟ
ⓣ
뜻(설명)
1권. K674, T36.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후한(後漢)시대에 안세고(安世高)가 148년에서 170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탐애부터 해탈까지 이르게 된 과정을 근본 원인부터 상세하게 밝힌 경전이다. 의치(猗致)란 연생(緣生)의 의미로 중생이 미혹하는 근본인 유애(有愛)를 말한다. 부처님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머물 때 여러 비구에게 탐애가 있는 비구는 어리석음[癡]에 기인하며, 어리석음은 오개(五蓋)에 기인하고, 오개는 삼악행(三惡行)에 기인하고, 삼악행은 근을 거두어 잡지 못함[不攝根]에 기인하고, 근을 거두어 잡지 못하는 것은 본래의 생각이 아닌 것[非本念]에 기인하고, 본래의 생각이 아닌 것은 믿지 못함[不信]에 기인하고, 믿지 못함은 법 아닌 것을 듣는 것[非法聞]에 기인하고, 법 아닌 것을 듣는 것은 슬기롭지 않은 자를 섬기는 일[非賢者事]에 기인하고, 슬기롭지 않은 자를 섬기는 것은 슬기롭지 못한 자와 함께하는 것[非賢者共]을 즐기는 일에 기인한다고 설한다. 또한 세상을 건너는 지혜와 해탈의 근본은 칠각의(七覺意)이며, 칠각의는 사의지(四意止)에 기인하고, 사의지는 삼청정(三淸淨)에, 삼청정은 근(根)을 거두어 지키는 일[守攝根]에, 근을 거두어 지키는 일은 본래의 생각[本念]에, 본래의 생각은 믿음[信]에, 믿음은 법경을 듣는 일[聞法經]에, 경을 듣는 일은 슬기로운 이를 섬기는 일[事賢者]에, 슬기로운 이를 섬기는 일은 슬기로운 이를 가까이하는 일[賢者聚]에 기인한다. 또한 슬기로운 이와 함께하면 칠각의를 얻을 수 있으므로 무위의 해탈을 얻어 세상을 건널 수 있으며, 해탈로 세상을 건너는 것은 여러 단계를 거쳐 근본을 따라 세상을 건너는 것이라고 설법한다. 이역본으로 『연본치경(緣本致經)』·『중아함경(中阿含經)』의 제51 『본제경(本際經)』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