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봉국사

본문

한자1
[奉國寺]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에 있던 사찰. 1674년(현종 15) 조정에서 축존(竺尊)에게 명하여 창건했다. 1939년 춘성(春城)이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으로 옮겨 지었다. 2)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사찰로 1028년(현종 19)에 창건되었으며, 그 뒤 폐허화된 것을 1395년(태조 4) 담화(曇華)가 태조의 명으로 중수하였다. 1674년(현종 15)에는 현종이 공주인 명혜(明惠)와 명선(明善)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공주의 능 근처에 있던 이 절을 중창하였는데, 당시 역사를 맡은 승려는 금강산의 일축존자(日竺尊者)였으며, 중창한 뒤 봉국사라고 하였다. 3)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에 있는 사찰. 조선 1359년(태조 4) 무학(無學)이 창건, 약사사(藥師寺)라 불렸으나 이후 봉국사로 개명했다. 1468년(세조 13) 중건, 1882년(고종 19) 군란 때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다음 해에 한계(漢溪)·덕운(德雲)이 중창했다. 4) 평양직할시 삼석구역 철봉리에 있던 사찰. 석불상(높이: 3척)이 있다. 5)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