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

본문

한자1
[不空羂索陀羅尼自在王呪經]
한자2
뜻(설명)
3권. K290, T1097. 당(唐)나라 때 보사유(寶思惟)가 693년에 동도(東都)의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불공견삭신주왕경』이라고도 한다. 불공견삭진언의 염송법과 그 공덕을 설한 경전이다.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분(分)으로 나누어져 있다. 경에서는 불공다라니자재왕주(呪)를 설하는데, 이 진언은 모든 진언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주문으로 이 진언에 능통하게 되면 자연히 모든 비밀 진언을 통달하게 된다고 설한다. 고려대장경에 포함되지 않은 이역본으로는 『불공견삭주심경(不空羂索呪心經)』 (T1095), 『불설불공견삭다라니의궤경(佛說不空羂索陀羅尼儀軌經)』 (T1098)이 있으며 이역본인 『불공견삭다라니경(不空羂索陀羅尼經)』 끝부분에는 사문 혜일(惠日)이 첨가한 『불공견삭인(不空羂索印)』 1권이 들어 있다. 이 외에도 『불공견삭신변진언경(不空羂索神變眞言經)』, 『불공견삭신주심경(不空羂索神呪心經)』, 『불설성관자재보살불공왕비밀심다라니경(佛說聖觀自在菩薩不空王秘密心陀羅尼經)』 등의 이역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