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견삭신변진언경
본문
한자1
[不空羂索神變眞言經]
한자2
ⓢ
Amoghapāśakalpaṛāja- sūtra
ⓟ
ⓣ
뜻(설명)
30권. K287, T1092. 당(唐)나라 때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707년에 서숭복사(西崇福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불공견삭경』 이라고 한다. 불공견삭관음보살의 진언·염송법·만다라·수인·호마법 등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불공견삭관음보살은 태장계만다라의 관음원(觀音院)에 위치한 보살로 생사의 대해에서 헤매는 중생들을 자비의 그물로 건진다는 보살이다. 이 경은 모두 78개의 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일경(大日經)』, 『금강정경(金剛頂經)』,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 등을 인용하여 그 내용이 풍부하기는 하지만 조직적으로 편집된 것은 아니다. 이 경은 다양한 불공견삭관음보살의 화현을 통해 많은 진언과 제단 건립법, 화상을 그리는 법, 수인 등을 설명하고 있으나 많은 수법이 근본적으로는 같은 의미이며 서로 연관이 있음을 설한다. 이역본으로는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不空羂索陀羅尼自在王呪經)』 등을 비롯하여 8가지가 있으며, 모두 이 경의 일부 내용을 초역한 것이다. 다양한 초역들이 있는 이유는 여러 수법이 동일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고 간단한 수법만으로도 부처님의 법을 얻을 수 있다는 경전의 가르침에 근거한 것이다. 고려대장경에는 들어 있지 않은 다른 이역본으로서 『불공견삭주심경(不空羂索呪心經)』(T1095)과 『불설불공견삭다라니의궤경(佛說不空羂索陀羅尼儀軌經)』(T1098) 등이 있다. 이역본으로 『불공견삭다라니경』,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 경』, 『불공견삭신주심경(不空羂索神呪心經)』, 『불설성관자재보살불공왕비밀심다라니경(佛說聖觀自在菩薩不空王秘密心陀羅尼經)』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