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시보
본문
한자1
[佛敎時報]
한자2
ⓢ
ⓟ
ⓣ
뜻(설명)
1935년 8월 창간. 《불교시보》는 김태흡(金泰洽)이 주관한 불교시보사(佛敎時報社)에서 창간된 이래 1944년 4월까지 매월 1회씩 105호가 나온 불교 잡지다. 당시 불교계에서는 재단법인 조선불교 중앙교무원에서 간행한 《불교(佛敎)》지가 1924년 7월에 창간되어 1933년 7월의 108호까지 나왔지만, 불교계 내분으로 인하여 그 잡지가 일시 휴간됨으로 인해 보도지가 없었다. 그리고 1929년 1월의 승려대회 이후 《조선불교선교양종종보(朝鮮佛敎禪敎兩宗宗報)》가 간행되었으나 불교계의 통일운동이 미진함에 따라 종간되었다. 이러한 교계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나온 잡지가 《불교시보》이다. 《불교시보》의 주간인 김태흡은 불교계의 소식을 전하는 동시에 종교 부활, 정신 작흥(作興), 신앙 고취를 내세우면서도 심전 개발 운동의 일익을 담당하겠다는 목적에서 이 잡지를 간행하였다. 불교시보사의 고문에는 박한영(朴漢永), 권상로(權相老), 김포광(金包光), 안진호(安震湖), 주간(主幹)에 김태흡, 사원에 조동호(趙東鎬), 이상렬(李相烈), 박윤진(朴允進) 등의 인명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불교시보사는 국내 및 일본의 17군데에 지국(支局)을 설치하였다. 《불교시보》는 5,000여 부가 발행되어 전국의 사찰, 포교당, 공공기관, 불교신도 등에게 배포되었다. 그러나 《불교시보》는 일제의 군국주의가 가속화되자 ‘비상조치결전시국(非常措置決戰時局)하의 국가요청(國家要請)’에 협조한다는 명목하에 105호로 자진 휴간하며 결과적으로 종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