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견허존실식

본문

한자1
[遣虛存實識]
한자2
뜻(설명)
유식(唯識)의 이치를 깨달아 가는 과정을 다섯 단계로 나눈 5중유식(重唯識)의 첫 번째 단계. 견허존실식(遣虛存實識), 사람류순식(捨濫留純識), 섭말귀본식(攝末歸本識), 은열현승식(隱劣顯勝識). 견상증성식(遣相證性識)의 다섯으로 견허존실식은 그 첫 번째이다. 마음 밖의 대상은 허망하므로 버리고 오직 마음만이 실재한다고 관하는 것이다. 자기의 감정이나 욕망에 따라 일어나는 주관의 차별적 고집에 의하여 파악하는 대상은 오직 주관의 감정에서만 참인 듯하고 객관의 이치에서는 없는 것이다. 전혀 실재성이 없는 것이므로 이는 허망한 것이며, 자체와 작용이 없다고 보아 공한 것이라고 부정한다. 인과의 이치에 따라 서로 존재하는 일체 만상과 우주의 본체인 진여는 객관의 진리에 존재하므로 이 모든 법의 본체는 진실한 것이어서 후득지(後得智)·근본지(根本智)의 대상이라고 보아 진실로 있다고 인정하는 관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