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불소행찬

본문

한자1
[佛所行讚]
한자2
Buddhacarita
뜻(설명)
5권. K980, T192. 1세기경 인도의 마명(馬鳴, Aśvaghoṣa)이 지은 것을 북량(北涼)시대 담무참(曇無讖, Dharmakṣema)이 414년에서 426년 사이에 고장(姑臧)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불소행찬경』, 『불소행찬전』이라고도 한다. 이 경은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서사시이다. 현존하는 범본 『불소행찬』은 1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처님의 탄생에서 시작해 환국(還國)으로 결말짓고 있다. 한역(漢譯)과 서장역(西藏譯)은 모두 생품, 처궁품, 염환품, 이욕품, 출성품(이상 1권), 차익환품, 입고행림품, 합궁우비품, 추구태자품(2권), 병사왕예태자품, 답병사왕품, 아라람울두람품, 파마품, 야유삼보제품, 전법륜품(3권), 병사왕제제자품, 대재자출가품, 화급고독품, 부자상견품, 수기원정사품, 수재취상조복품, 암마라녀견불품(4권), 신력주수품, 이사별품, 열반품, 대반열반품, 탄열반품, 분사리품(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역 『불소행찬』은 아름다운 운문으로 격조 있게 표현되어 있고 사상적으로도 범본에 없는 후대의 사상이 첨가된 듯한 곳이 보인다. 문장도 간결하기는 하나 이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평도 있다. 기존의 불교 작품은 대개 무미건조하고 기술(記述)이 산만한 측면이 있었는데, 『불소행찬』에 이르러 비로소 문학사적으로 여러 인도 순수문학 작품들과 견줄 수 있는 걸작을 갖추었다고 평가된다. 또한 체계 없이 단편적이고 부분적이었던 기존의 부처님 전기가 이 『불소행찬』 에 이르러 체계적인 부처님 일대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불소행찬』에는 부처님의 인격과 언행을 포함해 불교의 깊은 사상과 인도 사상이 인도 문학의 수려한 수사(修辭)에 의하여 장렬하고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부처님이 불교의 이상인 깨달음의 체득자(體得者)인 동시에 승단의 지도자로서 그 인격과 깨달음, 또한 전법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주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처님이 열반에 든 이후 얼마 동안은 체계를 갖춘 전기는 존재하지 않았는데, 율장(律藏) 중 단편적인 항목과 『장아함경(長阿含經)』의 『대본경(大本經)』 정도만 있을 뿐이었다. 부처님이 열반하신 뒤 오랜 시간이 지나고 그의 제자들도 입적하자, 많은 불교도는 부처님을 추모하며 그리워했으며, 동시에 부처님에 대한 기억을 온전하게 갖추어 전하기 위한 전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불교 성전(聖典)에서 전해지는 전설을 포함해 상상력과 불교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불타관(佛陀觀)을 첨가한 전기가 성립되었다. 현존하는 『본생담(本生譚)』 등 많은 불전문학(佛傳文學)이 그것이다. 많은 불전 중에서 『불소행찬』은 기존의 자료에 충실하면서도 사실적 내용을 적절히 가미한 아름다운 서사시로서 부처님의 생애와 가르침, 그의 인격을 찬탄하여 사람들에게 부처님에 대한 인격적 감화를 불러일으킨다. 석가 왕족의 계보(系譜)와 부처님의 탄생부터 열반에 이르기까지 장중한 내용을 기술하면서도 과장되거나 조잡하지 않게 역사적 사실을 계통적으로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부처님의 생애 속에 불교의 교의가 잘 녹아 들어가 있고, 마치 직접 부처님을 만난 듯한 생생한 묘사를 통해 부처님이 걸어간 고뇌의 도정(道程), 스스로 깨달은 이로서의 모습들이 다른 불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독자들에게 감동을 준다. 『불소행찬』에는 부처님의 깨달음이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 육바라밀(六波羅密) 등을 중심으로 정리되어 있고, 법신의 상주(常住)를 중심으로 한 불신관(佛身觀) 등도 망라되어 있어 불교의 이해를 돕는 지침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