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신
본문
한자1
[佛身]
한자2
ⓢ
buddhakāya
ⓟ
ⓣ
뜻(설명)
불교 최상의 이상(理想)을 실현한 부처님의 몸을 말한다. 『불신론(佛身論)』에서는 무상정각(無上正覺)을 얻고 보리와 열반을 증득한 부처님의 과체(果體)를 논의한다. 논의의 대상으로 무상정각, 곧 보리·열반이 어떤 것인가 등에 대해 대승·소승, 학파(學派)·종파(宗派)에 따른 많은 견해가 있으며 불신에 대해서도 여러 주장이 있다. 부처님은 입멸한 뒤에 존재하는가 혹은 존재하지 않는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인격적 존재인가, 이치로서의 존재인가, 덕으로서의 존재인가? 만일 영겁(永劫) 본체로서의 존재라 하면 역사상의 부처는 화현인가 등의 의문들이 불신론의 주제이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사상이 생겨났다. (1) 이신설: 『지도론(智度論)』의 법신(法身)·생신(生身), 『영락경』의 무극신(無極身)·응화신(應化身), 『대승의장』의 법성신(法性身)·실보신(實報身). (2) 삼신설: 『금광명경(金光明經)』의 법신·응신·화신, 『대승동성경(大乘同性經)』의 진신(眞身)·보신·응신, 『십지론(十地論)』의 법신·보신·응신, 『금강반야론(金剛般若論)』의 법신·보신·화신, 『심지관경(心地觀經)』의 자성신·수용신·변화신. (3) 사신설: 『불지경론(佛地經論)』의 자성신·자수용신·타수용신·변화신, 『마하지관(摩訶止觀)』의 법신·보신·응신·화신, 『사교의(四敎義)』의 자가수용신·타수용신·승응신·열응신, 『능가경(楞伽經)』의 여여불·지혜불·공덕불·응화불. (4) 십신설: 『화엄경(華嚴經)』의 중생신·국토신·업보신·성문신·벽지불신·보살신·여래신·지신·법신·허공신. 『불지론(佛地論)』의 정각불·원불·업보불·주지불·화불·법계불·심불·정불·성불·수락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