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위승광천자설왕법경
본문
한자1
[佛爲勝光天子說王法經]
한자2
ⓢ
Rājāvavādakasūtra
ⓟ
ⓣ
뜻(설명)
1권. K261, T593. 당(唐)나라 때 의정(義淨)이 705년에 동도(東都)의 대복선사(大福先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불위승광천자설경(佛爲勝光天子說經)』이라고 한다. 모든 것은 무상하므로 탐착심을 떠날 것과 악법을 멀리하고 선법을 닦을 것을 강조한 경전이다. 부처님이 실라벌성(室羅伐城: śrāvastī, 사위성) 서다림(逝多林)의 급고독원(給孤獨園)에서 대중들에게 법을 설할 때 승광(勝光)천자가 찾아왔다. 부처님은 그에게 악법을 멀리하고 선법을 닦아 나라를 잘 다스려야 한다고 설하며 산하대지 국토가 모두 무상하여 결국에는 다 없어지는 것이므로 속세를 떠나려는 마음을 일으켜야 하며, 이러한 마음이 지혜를 일으키고 지혜는 열반을 증득하게 한다고 설법한다. 이역본으로 『불설간왕경(佛說諫王經)』, 『불설승군왕소문경(佛說勝軍王所問經)』, 『여래시교승군왕경(如來示敎勝軍王經)』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