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응
본문
한자1
[結凝]
한자2
ⓢ
ⓟ
ⓣ
뜻(설명)
(954~1053) 고려시대 승려. 자는 혜일(慧日), 속성은 김씨이고, 명주(溟州) 사람이다. 12세에 용흥사에서 승려가 되어, 복흥사 계단에서 비구계를 받고, 28세에 선불장(選佛場)에 선발되어 대덕(大德)이 되었다. 현종 때 수좌(首座)가 되어 관동(關東)의 묘지사(妙智寺)에 머물고, 정종 때 승통(僧統)·1042년 왕사(王師)·1047년 국사(國師)가 되었다. 부석사(浮石寺)에서 세수 90세에 입적하였다. 문종이 원융(圓融)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부석사에 그의 비가 있다. 그가 일찍이 강언(姜彦)의 집에서 잘 때에 강언이 “뜰에서 들으면 글 읽는 소리고 방에 들어가 들으면 코 고는 소리”라고 하였다. 문덕전(文德殿)에서 비가 오길 빌면서 『화엄경(華嚴經)』을 강설하니, 오색구름이 허공에 가득하게 비가 잘 내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