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불필정입정입인경

본문

한자1
[不必定入定入印經]
한자2
Niyatāniyatagatimudrāvatāra- sūtra
뜻(설명)
1권. K138, T645. 원위(元魏)시대에 구담 반야유지(瞿曇般若流支, Gautama Prajāruci)가 542년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불필정입정인경』이라고도 한다. 대승의 가르침을 굳게 믿어야만 불퇴전하는 보살이 될 수 있다고 설한 경전이다. 문수사리가 불필정입보살과 정입보살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질문하자 부처님은 양이 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보살, 코끼리가 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보살, 해와 달의 신통으로 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보살, 성문의 신통으로 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보살, 여래의 신통으로 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보살 등 다섯 종류의 보살에 대해 설명한다. 앞의 두 보살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견고하지 못하여 무상지도(無上智道)에서 물러나지만, 뒤의 세 보살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견고하여 무상지도에서 물러남이 없다고 설하며 공양의 공덕을 강조한다. 이역본으로 『입정부정인경(入定不定印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