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비사라왕예불공양경
본문
한자1
[頻毗娑羅王詣佛供養經]
한자2
ⓢ
ⓟ
ⓣ
뜻(설명)
1권. K716, T133. 서진(西晋)시대 법거(法炬)가 290년에서 307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줄여서 『빈비사라왕예불경(頻毘娑羅王詣佛經)』·『예불공양경』이라고 한다. 부처님이 기수급고독원에 있을 때 빈비사라왕이 부처님을 찾아와 자신의 성으로 초대해 공양을 올리겠다고 청한다. 왕의 요청을 받은 부처님이 비구들과 함께 죽림정사로 가서 머물자, 왕은 부처님을 찾아와 자신은 한 나라의 왕으로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명이 다할 때까지 부처님과 비구들에게 의복과 음식·평상(平床)·와구(臥具)·의약 등을 공양하고 신하와 백성들에게도 권하여 부처님에게서 제도를 받아 삼악도(三惡道)를 영원히 떠나 평온하게 살겠다고 다짐한다. 또한 공양을 마친 부처님께서는 빈비사라왕을 위하여 시론(施論)·계론(戒論)·생천론(生天論)을 설하고 욕애(欲愛)가 큰 괴로움의 원인이며 이에서 벗어나려면 출가해야 한다고 설한다. 경의 원전이 북전(北傳)의 경전인 것으로 보아 기원전과 가까운 시기에 성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제34 「등견품(等見品)」의 일부 내용과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