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사경

본문

한자1
[四鏡]
한자2
뜻(설명)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진여의 청정함을 깨끗한 거울에 비유해 그 성질을 네 가지로 말한 것이다. (1) 여실공경(如實空鏡): 여실은 진여를 말하는데 진여 자체는 사려(思慮)나 분별을 초월해 공공(空空) 적적(寂寂)하다는 것을 뜻한다. (2) 인훈습경(因熏習鏡): 인(因)은 일체 만유를 나타내는 원인이자 발심(發心)·수행(修行)·득과(得果)의 원인이다. 훈습은 중생의 수행이 마치 연기를 훈습[熏]하듯 본각(本覺)의 한없는 공덕이 차차 성숙해지며 궁극에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인훈습(因熏習)이라 한다. (3) 법출리경(法出離鏡): 법(法)은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깨달음의 성품으로 본각(本覺)을 말하는데, 본각이 번뇌의 티끌을 여의고 진여가 드러난 맑은 거울과 같다고 비유한 것이다. (4) 연훈습경(緣熏習鏡): 본각의 지혜가 중생의 마음을 비추어 깨달음에 이르게 함을 연훈습(緣熏習)이라 하는데 이는 중생의 근기에 따라 여러 보불(報佛)·화불(化佛)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전하고 중생에게 선근 공덕을 갖추어 증득하게 하는 외연(外緣)으로서의 진여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