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나사
본문
한자1
[舍那寺]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기천리 사나산에 있던 사찰. 2)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 있는 사찰로 923년(태조 6) 고려 태조의 국정을 자문한 대경국사(大鏡國師) 여엄(麗嚴, 862~929)이 제자 융천(融闡)과 함께 세웠다고 한다. 『봉은사본말사지』에는 창건 당시 비로자나불상과 5층석탑을 조성했다고 한다. 1367년(공민왕 16)에 태고보우(太古普愚)가 140여 칸 규모로 중건했지만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 1698년 덕조(德照)가 중창하였지만, 1907년 의병과 관군의 전투에서 소실되었다. 이후 법당과 조사전을 지었지만 6·25전쟁 때 전소되었고, 1993년 대적광전과 미타전을 재건하였다. 3)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 산내에 있던 사찰. 4) 충청남도 보령시 백월산에 있던 사찰. 5)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지력산에 있던 사찰. 6)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황산에 있던 사찰로 부도사(浮屠寺)라고 불렸다. 7) 황해북도 개성시 궁성 밖에 있던 사찰. 고려 919년(태조 2)에 창건했으며, 1279년(충렬왕 5) 4월에는 왕이 잠시 머물렀던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