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불아비담론
본문
한자1
[舍利弗阿毘曇論]
한자2
ⓢ
Śāriputrābhidharmaśāstra
ⓟ
ⓣ
뜻(설명)
30권. K969, T1548. 후진(後秦)시대 담마야사(曇摩耶舍, Dharmayaśas)와 담마굴다(曇摩崛多) 등이 408년에 장안(長安)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사비불비담』, 『사리불아비담』, 『아비담론』이라 한다. 소승에서 말한 모든 법의 명의(名義)를 해석한 아비달마 논서이다. 1부를 문분(問分)·비문분(非問分)·섭상응분(攝相應分)·서분(緖分)으로 나누어, 문분에서는 십이입(十二入)·십팔계(十八界)·오음(五陰)·사성제(四聖諦)·22근(根)·칠각(七覺)·불선근(不善根)·선근(善根)·사대(四大)·우바새(優婆塞)를 설명하고, 비문분에서는 계(界)·업(業)·인(人)·지(智)·연(緣)·사념처(四念處)·사정근(四正勤)·사신족(四神足)·사선(四禪)·도(道)·번뇌(煩惱)를 설명한다. 섭상응분에서는 섭(攝)·상응(相應)을 설명하고, 서분에서는 변(邊)·인(因)·명색(名色)·가결(假結)·행(行)·18촉(十八觸)·가심(假心)·십불선업도(十不善業道)·십선업도 등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