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복
본문
한자1
[蛇福]
한자2
ⓢ
ⓟ
ⓣ
뜻(설명)
신라시대 승려로 사동(蛇童), 사파(蛇巴)라고도 하며 신라 10성(聖) 중 한 사람이었다. 경주 만선북리의 한 과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2세가 되기까지 말도 하지 못하고 일어나지도 못하여 이름을 사복이라 지었다. 세월이 흘러 그의 어머니가 죽게 되자 고선사(高仙寺)의 원효에게 찾아가 “스님과 내가 옛날에 경(經)을 싣고 다니던 암소가 죽었으니 함께 장례를 치러주지 않겠습니까?”라고 물었다. 이에 원효가 허락하며 사복의 집에 있는 시신 앞에서 “태어나지 말라. 죽는 것은 고통이다. 죽지 말아라. 태어나는 것이 고통이다.”라고 포살(布薩)을 하였다. 이때 사복이 말씀이 너무 길다고 하자, 원효는 “태어나는 것도 죽는 것도 모두 고통이다.”라고 하였다. 둘이 상여를 메고 활리산(活里山) 동쪽 기슭에서 장례를 치르며 원효가 “지혜 있는 범을 지혜로운 숲속에서 장사 지내는 것이 마땅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하자, 사복이 다음과 같은 게송으로 답했다. “옛날 석가모니 부처님[往昔釋迦牟尼佛]은 사라수 사이에서 열반에 드셨다[婆羅樹問入涅槃]. 지금 또한 그와 같은 이가 있어[于今亦有如彼者] 연화장세계에 들려 하네[欲入蓮華藏界寬].” 하고 풀뿌리를 뽑으니 그 속에 청허(淸虛)한 세계가 있었고 칠보(七寶)로 장엄한 누각이 있어 인간의 세계가 아닌 듯했다. 사복이 시체를 업고 그 속으로 들어가니 땅이 합해지고 입구가 닫혔다. 이후 사람들은 그를 위해 금강산 동쪽 기슭에 도량사(道場寺)라는 절을 세워 해마다 3월 14일에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열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