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사분율

본문

한자1
[四分律]
한자2
Dharmagupta-vinaya
뜻(설명)
60권. K896, T1428. 후진(後秦)시대 불타야사(佛陀耶舍, Buddhayaśas)와 축불념(竺佛念)이 405년 (또는 408년)에 중사(中寺)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담무덕율(曇無德律)』·『사분율장(四分律藏)』이라고도 한다. 불멸 후 100년에 담무덕이 상좌부(上座部)의 근본율 중 자기 견해에 맞는 것만을 네 번에 뽑아내어 만든 율문이다. 처음 부분에는 5언(言) 40송(頌), 다음으로 비구 구족계의 4바라이(波羅夷)·13승잔(僧殘)·30사타(捨墮)·90단타(單墮)·4제사니(提舍尼)·식차가라니(式叉迦羅尼)·100중학(衆學) 등 법과, 비구니 구족계의 8바라이·17승잔·30사타·178단타·20건도(犍度)·500결집법(結集法)·700결집비니(結集毘尼)·조부비니·비니증일 등을 기록했다. 20부파의 하나인 법장부에서 전승된 율장으로 이역본으로는 『갈마(羯磨)』, 『담무덕율부잡갈마(曇無德律部雜羯磨)』, 『사분니계본(四分尼戒本)』, 『사분비구계본(四分比丘戒本)』, 『사분비구니갈마법(四分比丘尼羯磨法)』, 『사분승계본(四分僧戒本)』 등이 있다. 주석서로는 혜광의 『약소』 4권, 법려의 『중소』 10권, 지수의 『광소』 20권, 도선의 『행사소』 13권, 『계소』 8권, 『업소』 8권, 『섭비니의초』 4권, 『비구니초』 3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