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제
본문
한자1
[四聖諦]
한자2
ⓢ
ⓟ
ⓣ
뜻(설명)
사제(四諦)와 같은 말로 고제(苦諦), 집제(集諦), 멸제(滅諦), 도제(道諦)를 뜻한다. (1) 고제(苦諦): 현실의 현상을 나타낸 말로 현실의 인생은 괴로움[苦]이라 관찰하는 것이다. 생·노·병·사의 4고(四苦)를 기본적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愛別離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는 괴로움[怨憎會苦],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求不得苦], 괴로움의 근본이 되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오온(五蘊)에 집착하는 괴로움[五陰盛苦] 등 여덟 가지 괴로움[八苦]이 있다. (2) 집제(集諦): 괴로움의 이유 근거 혹은 원인(原因)이 되는 번뇌로서 집착을 일으키는 요소인 애욕(愛慾), 갈애(渴愛)를 말한다. 위의 2제는 괴로움의 인과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에 대한 근거가 된다. (3) 멸제(滅諦): 무명(無明)과 모든 번뇌가 소멸한 상태, 불교에서 추구하는 목표 즉, 불교의 이상(理想)으로 깨달음·열반을 말한다. (4) 도제(道諦): 열반에 이르는 방법을 말하는데 도제는 깨달음에 이르는 조건이 된다. 팔정도(八正道)라고도 부르며,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의 실천법이 있다. 이 사제설(四諦說)은 불교의 여러 사상을 포괄하여 조직적으로 연결하는데 고제에는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오온(五蘊)이, 집제와 멸제에는 연기설(緣起說), 도제는 팔정도(八正道) 사상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십이연기의 관점에서 고제·집제는 순관(順觀)에 해당하고 멸제·도제는 역관(逆觀)에 각각 해당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