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수
본문
한자1
[四修]
한자2
ⓢ
ⓟ
ⓣ
뜻(설명)
수행하는 형태를 성도문과 정토문 두 문으로 나누어 그 행법을 각각 네 가지로 나눈 것. (1) 성도문(聖道門): ① 무여수(無餘修): 복덕과 지혜의 두 가지 자량(資量)을 닦아 더 이상 닦을 것이 남아 있지 않은 것. ② 장시수(長時修): 3아승지겁 동안 수행하여 게으름을 없애는 것. ③ 무간수(無間修): 정진하여 찰나찰나마다 닦아 쉬지 않는 것. ④ 존중수(尊重修): 항상 삼보(三寶)를 공경하고 존중하는 것. (2) 정토문(淨土門): ① 공경수(恭敬修): 아미타불과 일체 성중(聖衆)을 공경하고 예배하는 것. ② 무여수(無餘修): 전심으로 아미타불 명호를 부르며 일체 성중에게 전념(專念)하고 예찬하며 다른 행을 하지 않는 것. ③ 무간수: 마음과 마음이 바르게 상속하여 찰나마다 탐진(貪瞋)의 번뇌 같은 다른 업(業)을 짓지 않는 것. ④ 장시수: 앞의 3수를 목숨이 다할 때까지 수행하여 도중에 그치지 않는 것.
사수상 [四隨相] 사물이 변천(變遷)하는 상태를 생(生)·주(住)·이(異)·멸(滅)의 4상(四相)으로 나누고, 이를 생멸 변천케 하는 원리(原理)로 보는 것이다. 생생(生生: 현상을 생겨나게 하는 원리)·주주(住住: 현상을 유지시키는 원리)·이이(異異: 현상을 변화시키는 원리)·멸멸(滅滅: 현상을 소멸시키는 원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