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승
본문
한자1
[四乘]
한자2
ⓢ
ⓟ
ⓣ
뜻(설명)
승(乘)은 무언가를 싣고 타는 기구란 뜻으로 비유하면 중생을 태워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교법을 말한다. 1) 성문승·연각승·보살승·일승(一乘): 광택사의 법운이 『법화경(法華經)』 「비유품」의 문외(門外)에 있는 양거(羊車)·녹거(鹿車)·우거(牛車)와 대백우거(大白牛車)로 이 4승의 비유를 설명한다. (1) 성문승(聲聞乘): 성문을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가르침.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는 가르침으로 성문의 수행법. (2) 연각승(緣覺乘): 연기(緣起)의 이치를 깨달은 연각에 대한 가르침. 연각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가르침이며 연각에 이르는 수행법. (3) 보살승(菩薩乘): 깨달음을 구함과 동시에 중생을 교화하는 수행으로,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행하는 보살을 위한 가르침과 수행법. (4) 불승(佛乘): 깨달음에 도달하게 하는 궁극적인 가르침. 2) 일승(一乘)·삼승·소승·인천승. (1) 일승(一乘):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오직 하나의 궁극적인 가르침. (2) 삼승(三乘):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보살승(菩薩乘). (3) 소승(小乘): 자신의 깨달음만을 추구하는 수행자를 위한 가르침으로 자신의 해탈을 목적으로 삼는 성문(聲聞)·연각(緣覺)에 도달하기 위한 가르침. (4) 인천승(人天乘): 오계(五戒)를 수지하고 십선(十善)을 행하면 인간 혹은 천상계에 태어난다는 가르침. 3) 대승(大乘)·중승(中乘)·소승(小乘)·인천승(人天乘). (1) 대승(大乘): 자신도 깨달음뿐 아니라 타인 또한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수행자를 위한 가르침으로 깨달음을 구하면서 동시에 중생을 교화하는 보살을 위한 가르침. (2) 중승(中乘):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보살승(菩薩乘)의 3승(三乘) 중에서 중간에 있는 연각승을 뜻함. (3) 소승(小乘). (4) 인천승(人天乘)이 있는데 그 의미는 위와 같다. 이외에도 ‘성문승·연각승·보살승·인천승’ 혹은 ‘성문승·연각승·인승·천승’을 4승으로 언급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