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익범천소문경
본문
한자1
[思益梵天所問經]
한자2
ⓢ
Brahmaviśeṣacintīparipṛcchāsūtra
ⓟ
ⓣ
뜻(설명)
4권. K143, T586. 후진(後秦)시대 구마라집(鳩摩羅什)이 402년에 장안(長安)의 소요원(逍遙園)에서 번역하였다. 약칭으로 『사익경』, 『사익범천문경』이라 하며 별칭으로 『사익의경(思益義經)』이라고도 한다. 여래광(如來光)의 명호 공덕, 보살의 지성(志性) 견고함, 사제와 성현행(聖賢行) 등의 둘이 없음과 차별 없음을 설하며 보살의 발심과 정진(精進), 제법은 평등하여 생사와 열반이 없다는 것 등을 설명한 경전이다. 4권 18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심(持心)범천을 사익(思益)범천으로, 명망(明網)보살을 망명(網明)보살로 표현한 점들을 제외하면 『지심범천소문경』과 내용상 거의 동일하다. 특히 사익범천과 망명보살의 문답 중 사익범천이 부처님은 중생에게 생사를 떠나 열반에 들게 설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분별망상을 넘어서지 못하기 때문에 생사와 열반의 두 가지 상(相)을 분별한 것일 뿐이며, 실상 모든 법은 평등해서 가고 오는 등의 분별이 없다고 말하자, 부처님은 모든 법의 올바른 성품을 말하였다고 칭찬하였다는 대목에서 이 경의 특색이 잘 드러나 있다. 주석서로 세친(世親)의 논(論) 4권, 현명(賢明)의 주(註) 10권, 원징(圓澄)의 간주(簡註) 4권 등이 있으며, 이역본으로 『승사유범천소문경(勝思惟梵天所問經)』, 『지심범천소문경(持心梵天所問經)』 등이 있다. ⇨ 지심범천소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