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사훈습

본문

한자1
[四熏習]
한자2
뜻(설명)
『기신론(起信論)』에서 제시한 것으로 진(眞)과 망(妄)이 서로 훈습하여 염법훈습(染法熏習)·정법훈습(正法熏習)의 둘이 되고, 또 염법훈습이 무명훈습(無明熏習)·망심훈습(妄心熏習)·망경계훈습(妄境界熏習)의 셋으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1) 무명훈습: 망염(妄染)의 현상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 이것이 진여를 훈습하여 망심(妄心)을 낸다. (2) 망심훈습: 망심이 무명을 훈습하여 깨닫지 못하는 생각을 강하게 하므로 망경계를 나타낸다. (3) 망경계훈습: 망경계가 다시 망심을 훈습하므로, 염착(念着)하는 마음이 일어나 여러 가지 업을 지어 몸과 마음의 고통을 받는다. (4) 정법훈습: 염법의 현상을 멸하고 진여 본체에 환원하려는 작용의 방면에서 이름을 붙인 것으로, 진여가 무명을 훈습하여 무명을 제압하면 정법이 나타나고 무명의 작용이 세지면 염법의 현상이 일어나 근본업식(根本業識)이 생겨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