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바다부비니마득륵가
본문
한자1
[薩婆多部毗尼摩得勒伽]
한자2
ⓢ
Sarvāstivādavina- yamātṛkā
ⓟ
ⓣ
뜻(설명)
10권. K935, T1441. 유송(劉宋)시대 승가발마(僧伽跋摩, Saṅghavarman)가 435년 2월(또는 3월)에서 10월 사이 말릉(秣陵)의 평락사(平樂寺)에서 번역했다. 『비니마득륵가』, 『살바다비니』, 『마득륵가비니』, 『살바다마득륵가비니』라고도 한다.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娑)』, 『비니모경(毘尼母經)』,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 『율이십이명료론(律二十二明了論)』 등과 함께 율부에 관한 5대 논서의 하나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