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삼계교

본문

한자1
[三階敎]
한자2
뜻(설명)
삼계불법(三階佛法), 또는 제삼계불법(第三階佛法)이라고도 한다. 중국 남북조 후기에서 수대에 걸쳐 활동한 신행(信行, 540~ 594)에 의해 개창된 후 송나라 시기까지 약 400년 동안 존속했던 불교의 한 종파(宗派)이다. 삼계(三階)란 세 단계를 의미하는데, 부처님의 가르침을 시대·장소·중생의 근기로 나눈 것이다. (1) 시대로 구분: 1계는 정법(불멸 후 500년 이전), 2계는 상법(불멸 후 1500년 이전), 3계는 말법(불멸 후 1500년 이후)을 말함. (2) 장소로 구분: 1계는 정토(淨土)로 번뇌가 없는 일승들의 세계, 2계와 3계는 번뇌가 있는 예토(穢土)로 각각 삼승들과 사견을 가진 존재들이 있는 세계를 말함. (3) 중생의 근기로 구분한 1계는 보살을 가리키며, 일승의 가르침을 통해 출세간에 이를 수 있는 존재. 2계는 삼승의 근기를 가진 자들로 삼승의 가르침을 실천하여 출세간에 이를 수 있는 존재. 3계의 중생들은 말법시대의 존재로 바른 법을 구별할 능력도, 선근도 없으므로 분별을 내려놓고 모든 부처님과 중생들, 모든 경전을 받들어 실천하는 보경보행(普敬普行)을 통해 출세간에 이를 수 있다는 내용이다. 삼계교의 사상은 각각의 근기가 출세간에 이르는 방법을 설한 가르침이지만 대부분 삼계의 중생들이 출세간에 이르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