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교
본문
한자1
[三敎]
한자2
ⓢ
ⓟ
ⓣ
뜻(설명)
석가모니 일대 설교를 설법하는 형식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눈 것. 1) 남중(南中)의 삼교로 중국 제나라(479) 이후 강남의 여러 교파(敎波)가 주장한 것이다. (1) 점교(漸敎): 녹야원에서의 최초 설법 이후부터 입멸할 때까지 『아함경(阿含經)』, 『방등경(方等經)』, 『반야경(般若經)』을 차례로 거친 뒤 『법화경(法華經)』과 『열반경(涅槃經)』에 이르는 교설. (2) 돈교(頓敎): 부처님이 성도(成道) 직후 설법한 『화엄경(華嚴經)』. (3) 부정교(不定敎): 『승만경(勝鬘經)』, 『금광명경(金光明經)』 등 듣는 자의 근기에 따라 알아듣게 하는 가르침으로 각자가 이해한 내용을 서로 알지 못하는 것이 특징. 2) 광통(光統)율사의 삼교로 중국 남북조시대 광통율사의 분류에 의한 것이다. (1) 점교: 근기가 낮은 사람[未熟]에게 먼저 모든 법의 무상을 가르치고 이후 항상[常]을 말함. 또는 공(空)을 말하고 이후 공하지 않음[不空]을 말한 것. (2) 돈교: 근기가 높은 사람[圓熟]에게 상(常)·무상(無常)·공(空)·불공(不空)의 교(敎)를 동시에 말한 것. (3) 원교(圓敎): 『화엄경』의 궁극적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는 자[上達者]를 위해 사사무애(事事無礙)의 법문을 말한 것. 3) 남산(南山) 율종 삼교를 일컫는 말이다. (1) 성공교(性空敎): 모든 법의 자성 또는 오온(五蘊)의 공(空)을 관찰하는 것. (2) 상공교(相空敎): 범부와 외도들이 집착하는 사람[人]과·법(法)의 형상[相]은 모두 중생의 그릇된 견해이므로 이에 대해 공(空)을 관찰하는 것. (3) 유식원교(唯識圓敎): 사물[物]과 마음[心]의 현상은 모두 마음[唯識]이 조작한 것을 말함. 4) 삼시교(三時敎)의 약칭을 가리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