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삼단

본문

한자1
[三斷]
한자2
뜻(설명)
1)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 말한 성자들이 단계별로 끊어지는 번뇌 세 가지. (1) 견소단(見所斷): 견도(見道)에서 끊는 것으로 98사(使)의 수면번뇌(睡眠煩惱) 또는 수행의 장애로 일어나는 유루법(有漏法). 대승에서는 사사(邪師)·사교(邪敎)·사사유(邪思惟)로 일어나는 후천적인 번뇌장(煩惱障)·소지장(所知障)을 말함. (2) 수소단(修所斷): 수도(修道)에서 끊는 것으로 상좌부에서는 81종의 번뇌와 혹은 번뇌로 일어나는 유루법을 말하며, 대승에서는 본능적으로 저절로 일어나는 번뇌장·소지장을 말함. (3) 비소단(非所斷): 견도·수도에서 다 끊어지지 않은 유위와 무위에 통한 무루법(無漏法). 번뇌의 더러움이 없는 무위법은 무루이며 변화하는 유위법도 번뇌에 물들지 않은 것이 있으며 사성제(四聖諦) 중 도제(道諦)와 같음. 2) 임제종의 개조(開祖) 의현(義玄)이 수행자의 역량을 세 가지로 나눈 것이다. (1) 자성단(自性斷): 무루의 진지(眞智)가 일어날 때 번뇌의 자성을 끊어 다시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 (2) 연박단(緣縛斷): 이박단(離縛斷)이라고도 하며 번뇌의 속박을 벗어난 것으로 오근(五根), 오경(五境)과 그밖에 다른 무기법(無記法)의 체(體)를 끊지 않고, 깨달은 자 또한 오근·오경은 그대로 있는 것. (3) 불생단(不生斷): 연(緣)을 끊어서 발생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단(斷)이라 하며 앞의 2단(斷)으로 얻는 무위법을 택멸무위(擇滅無爲)라 하고, 뒤의 불생단으로 얻는 무위법을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