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덕
본문
한자1
[三德]
한자2
ⓢ
ⓟ
ⓣ
뜻(설명)
1) 『대지도론(大智度論)』, 『섭대승론(攝大乘論)』,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등에 나오는 내용으로서 부처님의 세 가지 덕을 말한다. (1) 지덕(智德): 평등한 지혜로 다 아는 덕. (2) 단덕(斷德): 온갖 번뇌를 다 끊어 남기지 않는 덕. (3) 은덕(恩德):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려는 서원으로 중생을 구하여 해탈케 하는 덕. 2) 『법화경(法華經)』과 『열반경(涅槃經)』에 나오는 열반의 세 가지 덕을 말한다. (1) 법신덕(法身德): 부처님이 설한 진리를 몸에 빗대어 말한 것으로 늘 존재하는 덕(常). (2) 반야덕(般若德):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아는 지혜. (3) 해탈덕(解脫德): 지혜를 바탕으로 해탈하여 참다운 자유를 얻은 것(낙·정)으로 『열반경』에서는 열반을 4덕(상·낙·아·정)으로 규정하는데 위의 세 가지 덕과 결합하여 설명한다. 또한 천태종에서는 이 3덕이 서로 고립된 것이 아니고 수승한[妙] 작용을 지닌 것으로 부종불횡(不縱不橫)·비삼비일(非三非一)의 3덕이라 한다. 3) 인도 브라만 육파철학 중 하나인 수론학파(Sāṃkhya)에서 물질의 특징인 자성(自性)을 구성하는 요소로 제시한 살타(薩埵, sattva), 랄사(剌闍, rajas), 답마(答摩, tamas) 세 가지를 말한다. 수론학파의 경전인 『금칠십론(金七十論)』에는 이 셋이 차례대로 희(喜)·우(憂)·암(闇)을 체(體)로 삼고 서로 상우(相優), 상의(相依), 상생(相生), 상교(相交), 상존(相存) 등의 배합으로 모든 사물[物]과 상태 등의 상위가 생긴다고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