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론종
본문
한자1
[三論宗]
한자2
ⓢ
ⓟ
ⓣ
뜻(설명)
일명 성종(性宗), 공종(空宗), 파상종(破相宗)라고도 한다. 인도 대승불교의 중관계(中觀系)·유가계(瑜伽系) 중 중관계에서 시작되어 중국에서 크게 번성한 종파이다. 용수(龍樹)가 지은 『중론(中論)』·『십이문론(十二門論)』과 제바(提婆)가 지은 『백론(百論)』의 3부를 주요 경전으로 삼아 성립되었다. 법맥의 흐름은 문수·마명·용수까지 이어지다 두 파로 나누어졌다. 일파는 용수, 제바, 라후라(羅睺羅), 청목(靑目), 사거왕자수리야소마(莎車王子須利耶蘇摩), 수리야발타(須利耶跋陀), 구마라집(鳩摩羅什)이고, 다른 일파는 용수, 용지(龍智), 청변(淸辯), 지광(智光), 사자광(獅子光)이라 전한다. 구마라집 문하에서 승조(僧肇)·승예(僧叡)·도생(道生)·영준(英俊)이 배출되었으며, 다시 도생(道生)·담제(曇濟)·도랑(道朗)·승전(僧詮)·법랑(法朗)을 거쳐 수나라의 길장(吉藏)으로 차례로 이어오다 승전에서 길장까지에 교의(敎義)가 크게 번성하였다. 길장 이전을 고삼론(古三論), 이후를 신삼론(新三論)이라 구별한다. 구마라집도 당시에 『중론(中論)』, 『백론(百論)』, 『십이문론(十二門論)』, 『지도론(智度論)』을 번역하였다. 이후 선종(禪宗)이 성장하면서 점차 쇠퇴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원효가 삼론의 종요(宗要)를 짓고, 백제의 혜현(慧顯)이 삼론을 강설했으며, 고구려의 혜관(慧灌)이 일본에 삼론종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