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삼무성론

본문

한자1
[三無性論]
한자2
뜻(설명)
2권. K622, T1617. 중국 진(陳)나라의 진제(眞諦, Paramārtha)가 557~569년 사이에 제지사(制旨寺)에서 번역했다. 호법(護法)의 신유식설 이전의 유식설에 의거하여 삼성삼무성설(三性三無性說)을 설명한 논서이다. 내용은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의 「성무성품」과 동일하며 게송을 제외한 석론(釋論) 부분에 대한 이역이다. 논서에서 인공(人空)을 말한 이유는 그릇된 법을 깨뜨리기 위함이고, 법공(法空)을 말한 이유는 올바른 법을 드러내기 위함이며, 법공을 드러내기 위하여 제법의 무자성을 설한다. 모든 법은 세 가지 특징[性]을 벗어나지 않는데 그것은 분별성(分別性), 의타성(依他性), 진실성(眞實性)이다. 이 3성에 따라서 삼무성(無性)을 설하는데 분별성을 따르는 것이 상(相)무성이고, 의타성에 따르는 것이 생(生)무성이고, 진실성에 따르는 것이 진실(眞實)무성이다. 진실성이란 앞의 2가지 본성(분별성·의타성)이 없는 경우를 말하는데, 진실이란 무상(無相)이고 무생(無生)이기 때문이다. 모든 유위법은 분별과 의타의 두 성품을 벗어나지 않으며 분별성은 체상(體相)이 없다고 설명한다. 이 논서는 9식설 중 제9 아마라식(阿摩羅識)의 개념을 세우는 근거 가운데 하나로 간주한다. ⇨ 현양성교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