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문직지
본문
한자1
[三門直指]
한자2
ⓢ
ⓟ
ⓣ
뜻(설명)
1책. 조선 후기 승려 진허팔개(振虛捌開)가 1769(영조 45)년 간행한 주석서다. 평안남도 문덕군 용흥리 은적사에서 개판(開板)했다. 염불·교(敎)·선(禪)을 하나로 회통하여 정립한 것으로 염불문[염불(念佛)]에는 『회유경(回由經)』과 세친(世親)의 논서 등을 인용해 염불 진언의 게송 방법을 설명하고, 원돈문[교(敎)]에는 지눌의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과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를 실었다. 경절문[선(禪)]에는 지눌의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휴휴암주(休休庵主)의 「좌선문(坐禪文)」, 「정진도설(精進圖說)」, 「간당규(看堂規)」 등을 수록했다. 특히 한문과 한글로 각각 수록되어 있어 18세기 후반의 국어사와 관련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