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집
본문
한자1
[三峰集]
한자2
ⓢ
ⓟ
ⓣ
뜻(설명)
1권 1책. 조선시대 화악지탁(華嶽知濯, 1750~1839)의 시문집. 구성은 권두에 이유원(李裕元)의 서문과 혜소(慧昭)의 발문이 있고 책 끝에 이유원의 영찬(影讚), 김정희(金正喜)의 법상찬(法像贊), 이도현(李道玄)이 쓴 지탁의 행장이 있다. 그리고 부록으로 이 책을 편집한 혜소의 스승이자 지탁의 제자인 경화(敬和)에 대한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도현이 지은 경화의 부도비명(浮屠碑銘)과 영찬, 김정희가 지은 경화의 영찬, 혜소가 쓴 경화의 행장 등이 있다. 본문은 「행각록(行脚錄)」, 「백두산기(白頭山記)」, 「천불산록(千佛山錄)」 등이 먼저 나온 뒤 7언 및 5언으로 된 율시와 절구가 수록되어 있다. 산문으로는 「금강산유점사설선당중건기(金剛山楡岾寺說禪堂重建記)」 등 금강산의 여러 사찰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글 1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경기도 양주 천마산 보광사(寶光寺)에서 1869년(고종 6)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