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암
본문
한자1
[三聖庵]
한자2
ⓢ
ⓟ
ⓣ
뜻(설명)
1)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에 있는 사찰로 1872년 고상진(高尙鎭)이 창건하여 ‘소란야(小蘭若)’라고 하였다. 창건에 앞서 한양에 살았던 신도 박선묵(朴銑默)과 유성종(劉聖鐘)·서윤구(徐潤龜)·고상진·이원기(李元基)·장윤구(張潤九)·유재호(劉在護) 등이 1870년 봄에 현재의 절에 있는 천태굴(天台窟)에서 3일 동안 독성기도(獨聖祈禱)를 마치고 절을 창건하자고 하여 창건되었다고 한다. 2)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에 있는 사찰로 1866년(고종 3) 문찰(文察)이 중건, 1912년 관해(琯海)가 재창했다. 3)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주례리 황악산에 있는 사찰로 직지사의 말사이다. 4)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위장산에 있던 사찰이다. 5)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청통로 은해사 산내에 있던 사찰이다. 6) 강원도 고성읍 외금강면 금강산에 있는 사찰이다. 1880년(고종 17) 용선(龍船)이 창건했으며 신계사의 부속 암자이다. 7)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태백산에 있는 사찰로 영은사의 부속 암자이다. 8) 강원도 고성군 금강산에 있던 사찰이다. 9) 평안북도 삭주읍 상광리 서북 마두산에 있던 사찰이다. 10) 평안북도 희천시 북면 개고개동 두첩산에 있는 사찰이다. 11) 황해남도 은율군 박석산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