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삼수

본문

한자1
[三修]
한자2
뜻(설명)
1) 무상수(無常修), 비락수(非樂修), 무아수(無我修)의 세 가지 종류를 말한다. (1) 무상수: 성문들이 법신 상주의 덕을 알지 못하고 발생·소멸하는 유위계(有爲界)의 모습만을 보고 무상을 관하는 것. (2) 비락수: 법 가운데 이미 열반적정(涅槃寂靜)의 즐거움이 있는 줄을 알지 못하고 괴로움을 관하는 것. (3) 무아수: 자재무애한 진아(眞我)가 있는 줄을 알지 못하고 오온이 임시[假]로 화합한 대상임을 알고 무아로서 관찰하는 것. 2) 상수(常修), 낙수(樂修), 아수(我修)의 세 가지 종류를 말한다. (1) 상수: 보살은 법신의 체(體)가 상주 불멸함을 알고 성문이 무상하다고 집착하던 것을 파하는 것. (2) 낙수: 모든 법 그 자체에 열반적정의 낙이 있음을 알고 괴로움이라는 집착을 부수는 것. (3) 아수: 진아(眞我)의 걸림 없는 본성을 알고 성문의 무아집(無我執)을 부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