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시
본문
한자1
[三時]
한자2
ⓢ
ⓟ
ⓣ
뜻(설명)
1) 석가모니 입멸 후 불교 시대를 세 시기로 나눈 것으로 정법시(正法時), 상법시(像法時), 말법시(末法時)를 말한다. (1) 정법시: 교법, 수행, 증과(證果)의 삼법이 완전하게 있는 시대. (2) 상법시: 교법, 수행은 있으나 깨닫는 이가 없는 시대. (3) 말법시: 교법만 있고 수행·깨닫는 이가 없는 시대. 이 세 가지 시대가 지나면 교법까지 모두 없어지는 시대로 법멸(法滅)시대라고 한다. 2) 석가모니의 유법(遺法)에 대해서 말법을 만년이라고 하고 정법·상법의 시기는 다르다는 설이 있다. 예를 들면 정법 5백 년·상법 1천 년설(說), 정법 1천 년과 상법 5백 년설·정법 1천 년·상법 1천 년설 등이 있다. 3) 주야의 6시(時)를 각각 3시로 나눈 것으로 낮 3시와 밤 3시를 말한다. 4) 인도의 1년 기후를 셋으로 나눈 것으로 열제시(熱際時), 우제시(雨際時), 한제시(寒際時)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