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삼신

본문

한자1
[三身]
한자2
뜻(설명)
1) 불신을 세 가지로 나눈 것으로 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의 세 가지가 있다. (1) 법신: 법은 변하지 않는 본질을 뜻하고 신은 인격적 특징을 의미하는데 이를 합쳐 법신[理佛]이라 한다. (2) 보신: 보살이 바라밀의 수행과 서원으로 완성된 부처님을 말하며 등류신(等流身) 또는 수용신(受用身)이라 하는데 수용신에는 자수용신(自受用身)과 타수용신(他受用身)이 있다. 자수용신은 자신의 깨달음을 스스로 누리는 부처님을 말하며, 타수용신은 자신의 깨달음을 홀로 누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중생을 교화하는 부처님 즉, 아미타불 혹은 약사여래 등을 가리킨다. (3) 응신: 특정 시대와 지역에 따라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출현한 역사적인 석가모니를 칭한다. 2) 법상종(法相宗)에서는 자성신(自性身), 수용신(受用身), 변화신(變化身)의 세 가지로 나누는데, 비로자나불은 자성신(自性身), 노사나불(盧舍那佛)은 수용신(受用身), 석가불(釋迦佛)은 변화신(變化身)으로 본다. 3) 『최승왕경(最勝王經)』 제2권에서는 법신, 응신, 화신으로 구별하며, 『대승의장(大乘義章)』에서는 응신은 석존과 같고 화신은 불신이 아니며 인(人)·천(天)·귀(鬼)·축(畜) 등으로 표현한다. 4) 『섭대승론』 상권에서는 진신(眞身), 보신(報身), 응신(應身)으로 분류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