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심
본문
한자1
[三心]
한자2
ⓢ
ⓟ
ⓣ
뜻(설명)
1) 『무량수경(無量壽經)』에 등장하는 내용으로 지심(至心), 신락(信樂), 욕생(欲生)을 말한다. 2)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내용으로 지성심(至誠心), 심심(深心), 회향발원심(廻向發願心)의 세 가지 마음을 말한다. 3) 『기신론(起信論)』에 등장하는 내용으로 믿음을 성취해서 진리를 깨치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키기 위한 직심(直心), 심심(深心), 대비심(大悲心)을 말한다. 4) 근본심(根本心), 의본심(依本心), 기사심(起事心)으로 『종경록(宗鏡錄)』에서는 제8식·제7식·제6식에 각각 해당한다고 하며, 『합부금광명경(合部金光明經)』에서는 근본심, 의본심, 기사심이 법신·보신·화신의 삼신을 나타내지 못하게 하는 마음이라 주장한다. 5) 삼승의 수행하는 지위마다 입심(入心), 주심(住心), 출심(出心)의 셋으로 나눈 것이다. (1) 입심: 처음 경지에 들어가는 것. (2) 주심: 그 경지에 머물러 있는 것. (3) 출심: 그 경지에서 나와 다음의 경지로 가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