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업
본문
한자1
[三業]
한자2
ⓢ
trīṇi karmāṇi,
ⓟ
tīṇi kammāni
ⓣ
뜻(설명)
1)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으로, 몸의 행위를 통해 짓는 업, 말을 통해 짓는 업, 생각이나 뜻 혹은 의지(意志)로 짓는 업을 말한다. 2) 복업(福業), 비복업(非福業), 부동업(不動業)을 가리키는 말이다. (1) 복업: 욕계의 선과(善果)를 받을 업. (2) 비복업: 욕계의 악과(惡果)를 받을 악업. (3) 부동업: 색계·무색계에 태어날 원인[因]인 선업. 3) 순현업(順現業)·순생업(順生業)·순후업(順後業)을 통해, 미래에 받게 될 과보를 세 가지로 나눈 것으로 삼시업(三時業)이라고도 한다. (1) 순현업: 현생에서 지은 업을 현생에서 받는 것. (2) 순생업: 현생에서 지은 업을 다음 생에서 받는 것. (3) 순후업: 현생에서 지은 과보를 다음 생 이후에 받는 것. 4) 선업(善業), 악업(惡業), 무기업(無記業)의 세 가지를 뜻하는 말이다. (1) 선업: 몸[身]·입[口]·뜻[意]으로 짓는 선한 과보를 가져오는 업. (2) 악업: 몸·입·뜻으로 짓는 나쁜 과보를 가져오는 업. (3) 무기업: 선업이나 악업의 그 어떤 결과도 받지 않게 되는 업. 여기에는 유부무기(有覆無記)와 무부무기(無覆無記)가 있다. 유부무기는 수행을 방해하는 것으로 아집(我執)의 근본인 제7식과 같으며, 무부무기는 제8 아뢰야식과 같다. 5) 곡업(曲業), 예업(穢業), 탁업(濁業)의 세 가지를 뜻하는 말이다. (1) 곡업: 아첨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일어나는 몸·입·뜻의 삼업. (2) 예업: 분노(瞋心)에서 일어나는 몸·입·뜻의 삼업. (3) 탁업: 탐욕에서 일어나는 몸·입·뜻의 삼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