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삼유대

본문

한자1
[三有對]
한자2
뜻(설명)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 제76권과 『구사론(俱舍論)』 제2에 나오는 내용으로 유대법(有對法)의 장애유대(障礙有對), 경계유대(境界有對), 소연유대(所緣有對)의 3종 유대를 말한다. 대(對)란 장애[礙]의 뜻으로 장애(障礙)와 구애(拘礙)의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1) 장애유대: 색계의 18계 중 열 가지 색계로 한 공간을 점유한 물질이 같은 공간을 점유한 다른 물질을 장애하는 뜻이다. (2) 경계유대: 12처(육근·육식)와 법계 일부(심상응의 심소). 예를 들면 야행성 동물인 박쥐나 올빼미의 눈은 밤에는 장애가 되지 않으나 낮에는 장애가 됨을 말한다. (3) 소연유대: 마음[心]과 마음 작용[心所]의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재물을 보면 탐욕이 일어나지만 재물 없이 탐욕은 일어나지 않는 것과 같다. 마음 작용과 대상이 서로 구속되어 자유롭지 않음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