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본문
한자1
[慶州佛國寺靑雲橋및白雲橋]
한자2
ⓢ
ⓟ
ⓣ
뜻(설명)
국보.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진현동) 불국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신라의 건축물로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자하문과 연결된 돌계단 다리이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751년(경덕왕 10)부터 774년(혜공왕 10)까지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함께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불국사의 예배 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대웅전으로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를 말하며, 세속과 불(佛)세계를 이어 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불국사 창건에 관한 기록인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는 자하문-청운교-백운교라는 순서로 기록하고 있다. 다리 아래는 구품연지(九品蓮池)가 있었다고 한다. 위에 있는 청운교는 16단이고 아래에 있는 백운교는 18단으로 전체 34계단으로 되어 있다. 청운교(靑雲橋)를 푸른 청년의 모습으로, 백운교(白雲橋)를 흰머리 노인의 모습으로 비유해 인생을 상징하기도 한다. 계단의 경사는 45°이다. 청운교와 백운교가 이어지는 부분은 무지개 모양의 홍예로 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홍예교와 홍예문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