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흥
본문
한자1
[憬興]
한자2
ⓢ
ⓟ
ⓣ
뜻(설명)
신라시대 승려. 속성은 수(水)씨로 웅천주(熊川州) 충청남도 공주 사람이다. 18세에 출가하여, 삼장(三藏)에 통달하였다. 문무왕의 유언에 따라, 신문왕 때 국로(國老)가 되었다. 삼랑사(三郞寺)에 있으면서 오로지 저술에만 힘썼는데, 그 학설은 대개 법상종(法相宗)이다. 저서는 『대열반경소(大涅槃經疏)』 14권, 『법화경소(法華經疏)』 16권, 『구사론초(俱舍論鈔)』·『금광명경술찬(金光明經述贊)』 7권, 『금광명경약찬(金光明經略讚)』,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아미타경약기(阿彌陀經略記)』, 『미타경술찬(彌陀經述讚)』 3권, 『관정경소(灌頂經疏)』, 『십이문다라니경소(十二門陀羅尼經疏)』, 『약왕경소(藥王經疏)』 1권, 『금강반야료간(金剛般若料簡)』, 『법원기(法苑記)』, 『사분율갈마기(四分律羯磨記)』 1권, 『사비니기(捨毘尼記)』, 『무량수경술찬(無量壽經述讚)』, 『기신론문답(起信論問答)』 1권, 『성유식론폄량(成唯識論貶量)』 25권, 『성유식론추요기(樞要記)』, 『성유식론의기(義記)』, 『유가론소(瑜伽論疏)』 10권, 『유가석론기(瑜伽釋論記)』 36권, 『현양론소(顯揚論疏)』, 『인명의문의초(因明義門義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