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암
본문
한자1
[上院庵]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에 있는 사찰. 상원사라고도 한다. 1398년(태조 7) 조안이 중창했으며 무학대사가 잠시 머물렀다. 1463년(세조 8)에는 나라에서 중창, 그 후 끊임없이 중수하였으나 1907년(융희 1) 병화에 불타고 법당만이 남았다. 1918년 주지 화송(華松)이 큰방을 복원하고 1934년 주지 경언(璟彦)이 객실을 신축하였으나 6·25전쟁 때 전소되었다. 1969년 덕송(德松)이 복원하였고 용문사의 암자에서 독립시켰다. 2)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의 부속 암자이다. 3)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태화산 마곡사의 부속 암자이다. 4)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에 있던 사찰로 상원사라고도 한다. 5)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에 있던 사찰이다. 6)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대둔산 안심사의 부속 암자이다. 7)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지리산 화엄사의 부속 암자이다. 8) 전라남도 해남군 두륜산에 있는 사찰이다. 9) 경상북도 경산시 팔공산 환성사 뒤쪽에 있던 사찰이다. 10) 경상북도 김천시 천개산에 있던 사찰이다. 11) 강원도 이천군 웅탄면 오도산에 있는 사찰이다. 12) 강원도 고성군 건봉사 곁에 있던 사찰이다. 13) 강원도 삼척시 두타산에 있던 사찰이다. 14) 강원도 속초시 설악산 신흥사의 부속 암자이다. 15) 평안북도 향산군 묘향산 보현사의 부속 암자이다. 16) 황해도 황주군 주남면 정방산 성불사의 부속 암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