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상좌부

본문

한자1
[上座部]
한자2
Sthavira-vāda,
Thera-vāda
뜻(설명)
인도 부파 20부 중 하나. 체비리(體毘履)·타비라(他鞞羅)·타비리여(他毘梨與) 등으로 음역한다. 북방에서 전하는 바에 따르면, 불멸 후 100여 년경 학승(學僧)인 대천(大天)이 5개조의 신설(新說)을 주창하며 전통적인 불교를 반대했는데 이를 대천오사(大天五事)라고 한다. 이를 계기로 개혁적인 대중부와 보수적인 상좌부가 생기는 등 근본 분열이 시작되었다. 그 뒤 상좌부에서는 약 300년 동안 10개의 파로 분파된다. 상좌부는 먼저 불멸 후 300년이 되던 초기 근본 상좌부(나중에 설산부라고 불림)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로 나뉜다. 다시 300년의 중간쯤에 설일체유부에서 독자부(犢子部)가 나오고, 여기에서 법상부(法上部)·현주부(賢冑部)·정량부(正量部)·밀림산부(密林山部) 등이 갈라져 나온다. 그 뒤 설일체유부에서 화지부(化地部)가 나오고 화지부에서 법장부(法藏部)가 나온다. 300년의 말경에 설일체유부에서 음광부(飮光部)·경량부(經量部)가 갈라져 나온다. 교의(敎義)는 자세히 전하지 않고 다만 설일체유부만이 전한다. 대중부(大衆部)의 상대어이다. ⇨ 소승이십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