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석경

본문

한자1
[石經]
한자2
뜻(설명)
불경을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 돌에 새겨 놓은 경문(經文). 현존하는 석경 중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수·당대부터 새겨진 방산석경(房山石經)이다. 이것은 수나라 대업 때(605~616) 지원(智苑)이 그 사업을 시작하고 지원이 죽은 뒤 도공(導公)·의공(儀公)·섬공(暹公)·법공(法公) 등이 계속하여 사자(師資) 5대에 걸쳐 대승 4대부경(『화엄경(華嚴經)』·『열반경(涅槃經)』·『반야경(般若經)』·『보적경(寶積經)』)을 새겨 그 태반을 마쳤다. 요나라 때 이르러는 『대반야경(大般若經)』의 나머지와 『대보적경(大寶積經)』의 전부를 새겨 비로소 4대부경을 완성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지리산 화엄사의 『진화엄석경(晉華嚴石經)』, 경주 남산 칠불암의 『금강경석경(金剛經石經)』, 경주 창림사지에서 출토된 『법화경석경(法華經石經)』 등이 있다.